쇼핑몰 채널 관리, 어떤걸 신경써야 성장할 수 있을까?_마케팅노트
본문 바로가기

토끼풀 노트

쇼핑몰 채널 관리, 어떤걸 신경써야 성장할 수 있을까?_마케팅노트

반응형

쇼핑몰과 채널 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다.

전부터 온라인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어 지금은 온라인 마케터가 많다고 생각한다. 이건 모두가 아는 사실이기도 하다. 그리고 마케터가 많아질 수록 온라인 상에서 쇼핑몰 혹은 채널을 관리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노력 역시 많아졌다. 그리고 앞으로 지금보다 더 이 분야의 노력과 관심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창업과 부업때문에..

직장생활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건가?

최근 잡코리아와 알바몬을 통해 받은 리서치에서 직장인 전체의 77% 정도가 창업을 희망한다는 의견을 내비췄다. 물론 이직과 취업을 위해 모인 사이트에서 한 설문이니 어느정도 감안은 해야겠지만 중요한 건 취업, 이직만큼이나 창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게 아닐까. 

창업을 희망하는 77%들의 대부분의 이유중 39%는 현 직장의 고용불안감 때문에 퇴직을 벌써부터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리고 또 38%는 월급 외에 부가수익을 위해서 창업을 희망하는데 이건 최근 느꼈던 임금과 물가 상승이 문제가 아닐까한다. 

 

https://cloverc.tistory.com/342

 

MZ세대가 되는 이유 _ 물가와 임금 부자노트

짜장면 가격 4,000원? 2009~2011년도에 방영된 롤러코스터라는 예능 프로그램을 우연히 봤다. 지금의 사내문화와 많이 달라 비교하는 재미로 볼만한 것 같았다. 그러다 눈에 들어왔던 부분이 있었는

cloverc.tistory.com

 

내일채움공제.. 청년 지원사업 너 마저?

23년 내일채움공제에 대한 개정안 소식이 있어 자세히 들여다 봤다.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분야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23년에 변화된 것만을 확인해봤을 때 결국 지원 폭이 대폭 감소된 것으로 보였다. 이런 상황에 누가 직장에 남아 있고싶어 할까하는 생각과 함께 다들 창업에 눈 돌리는 이유를 납득하게 되었다. 

내일채움공제 23년 변경사항

창업과 부업, 쇼핑몰 및 채널 관리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창업과 부업에 있어 가장 부담없이 시작해 볼 수 있는것 중 하나가 온라인 쇼핑몰이다.

전부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낮은 진입장벽으로 많은 사람들이 부가 수익을 위해 들어오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많아질 것이라 예상한다.) 그리고 쇼핑몰 운영과 동시에 SNS 소통 채널관리는 이제 필수가 되었다. 마케터는 앞으로도 줄어들 기미는 보이지 않고, 쇼핑몰과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새내기 사장님들은 늘어나니 채널 성장, 쇼핑몰 성장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 어떤 것들을 신경써야 쇼핑몰과 채널들을 성장시킬 수 있을까?

방법은 많겠지만 이번에는 채널 관리 지표에서 빠지지 않는 MAU만 다뤄보려한다. 

 

채널 성장의 중요한 지표

MAU: 한달동안 활성화 된 유저수

Monthly Active User라는 뜻으로 조회 기준이 아닌 도달 기준이다. 쉽게 생각해 이 채널에 몇 번 봤는냐보다 사람 몇 명이 봤느냐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하루 기준으로 본다면 DAU, 한달 기준으로는 MAU로 이해할 수 있는데 MAU = NAU + RAU (+ EAU)로 구성된다.

- NAU: 신규 활성 유저

- RAU: 과거 활동 이력이 있는 유저 

- EAU: 전월, 당월 모두 활동한 유저 (RAU와 함께 사용시 RAU에서 전월 활성 유저는 제외시켜야한다)

GA4 혹은 애널리틱스 툴을 다루는게 아니라면 단순히 NAU와 RAU(EAU가 포함된 상태)만 신경써도 되지않을까 하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조금 더 쉽게 정리해서 그 달에 방문해준 사람 중 처음 방문자와 재방문자만 본다.

 

쇼핑몰 및 채널 관리 성장시키기 위한 생각정리_MAU 활용

그 달 방문자가 전체적으로 줄었는지 늘었는지를 먼저 본 뒤 왜 그런 변화가 있었는지를 처음 방문자와 재방문자로 나누어 해석한다. 

처음 방문자의 영향이 컸다면 광고, 신규 런칭 캠페인, 혜택 조정, 썸네일(비주얼의 변화)에서 어떤 점이 나빴고 좋았는지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 재방문자의 영향이 컸다면 시즌성, CRM 성과, 직접 소통 혹은 소통 컨텐츠, 광고 피로도 문제는 없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반응형